[네트워크] 프로토콜 정리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정보보안🔒/네트워크📲

[네트워크] 프로토콜 정리

프로토콜(Protocol)이란 ? 복수의 컴퓨터 사이나 중앙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 규약 - 위키피디아 프로토콜의 종류 POP (Port : 110) TCP/IP를 통해 전자 메일을 원격 서버로부터 가져오는데 사용되어지는 프로토콜이고, 원격 서버에 접속하여 이메일을 가져온 후 서버에서 이메일을 삭제하는 것이 특징이다. SMTP (Port : 25) 인터넷에서 메일을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 FTP (Port : 20, 21) 인터넷상에서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TFTP (Port : 69) FTP와 마찬가지로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지만, FTP에 비해 단순한 방식으로 파일을 송수신한다. HTTP (Port : 80)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

2021.04.04 게시됨

[네트워크] TCP와 UDP 구조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정보보안🔒/네트워크📲

[네트워크] TCP와 UDP 구조

TCP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전송 계층에 속해있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로 3-Way-Handshake 과정을 통해 세션을 성립하고 패킷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손실, 중복, 오류 등)를 검출하고 해결하는 특징이 있다. TCP 구조 Source Port : 패킷을 송신하는 출발지의 포트번호 Destination Port : 패킷을 수신할 도착지의 포트번호 Sequence Number : 세그먼트(패킷)의 순서 표기 Acknowledgment Number :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확인 응답으로 Sequence Number의 1을 더한 값 Data Offset : TCP 헤더와 데이터를 포함한 전체 길이 Reserved : 예약된 필드 Winodw Size..

2021.03.25 게시됨

[리눅스] passwd와 shadow 파일 구조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정보보안🔒/시스템💾

[리눅스] passwd와 shadow 파일 구조

리눅스란? 1983년 리처드 스톨만이 개발한 GNU 운영체제이고, 1991년 10월에 정식 버전이 발표되었다. 또한 리눅스는 'Copyright'가 아닌 'Copyleft'로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오픈 소스로 공개한 특징이 있다. 리눅스의 사용자 계정 정보(/etc/passwd)와 패스워드를 담고 있는 파일(/etc/shadow)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passwd 파일 구조 1 - 사용자 계정을 의미함(root = 최고 관리자) 2 - 패스워드가 암호화되어 shadow 파일에 저장되어 있음을 나타냄 3 - 사용자 번호(0 = 최고 관리자) 4 - 그룹 번호(0 = 루트 그룹) 5 - 실제 이름(시스템 설정에 영향을 끼치지 않음) 6 -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설정 - 해당 예시에서는 root..

2021.03.22 게시됨

[네트워크] OSI 7 Layer 계층별 특징 및 프로토콜 그리고 장비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정보보안🔒/네트워크📲

[네트워크] OSI 7 Layer 계층별 특징 및 프로토콜 그리고 장비

OSI 7 Layer란? 국제표준화기구인 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별로 나눈 것이고, OSI 7 Layer의 특징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크게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으로 나뉘며 상위 계층은 사용자를 위한 계층이고, 하위 계층은 컴퓨터를 위한 계층으로 데이터의 흐름 또는 전송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상위 계층으로는 세션, 표현, 응용이 포함되어 있고 하위 계층으로는 물리, 데이터 링크, 전송, 세션 계층으로 구성되어져 있습니다. 각 계층별로 특징과 프로토콜 그리고 장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특징 비트 표현 : 데이터 전송 단위 bit(0과 1) 데이터 ..

2021.02.20 게시됨